통합 검색

통합 검색

정신역동상담/과정기반
상담자 [이인숙]이 함께 합니다.

"사람의 마음은
우주에서 가장 매혹적인 것입니다.
그보다 더 매혹적인 것이 있다면,
그것은 아마도 두 사람 사이에서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지
발견하려고 애쓰는 마음일 것입니다."
- R.D.Hinshelwood(정신분석가)
상담자 [이인숙]은, 깊은 마음을 탐험해 '온전한 나'를 이해하고 회복하는 길을 함께 걷고자 합니다.
상담자 [이인숙]은, 깊은 마음을 탐험해 '온전한 나'를 이해하고 회복하는 길을 함께 걷고자 합니다.

1. 우울과 불안의 치유, 성격이해를 위해 정신분석(정신역동)적 접근을 합니다.
상호주관적 관점과 지금-여기에서의 작업을 추구합니다.
2. 청소년, 부부, 부모-자녀와 함께 해결중심 가족상담적 접근을 합니다.

3. '자기(Self)'의 회복을 위해 심층의 수치심을 이해하는 작업을 함께 합니다.

4. 상담전공자 교육분석과 사례 수퍼비전을 합니다. 

상담자 이인숙은


상담심리사1급(한국상담심리학회 No.389)

청소년상담사1급(여성가족부)

사회복지사1급(보건복지부)

임상심리사2급(산업인력공단)

Psychoanalytic Association of New York(PANY) DLP과정 수료

IPA정신분석가로부터 4년간 주4회 정신분석 받음


심리학박사(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상담심리)

교육학석사(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문학사(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양사학과) 

(현) 이인심리상담연구소장
(현) 서울시교육청 교권보호 및 교원치유지원센터 협력상담기관 상담사
(전)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강사
(전) 한국항공대학교 교양과정 강사
(전) 전진상 영성심리상담센터 상담사/수퍼바이저
(전) 진애인 아동가족치료센터 심리검사 담당 상담사
(전) 가톨릭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객원상담사/수퍼바이저
(전) 항공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책임상담사
(전) 방송통신대학교 시간제상담사
(전)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인턴/레지던트 상담사
(전) 청소년쉼터 평화의 샘 상담사
(전) TBS PD

연구:
- 수치심상황질문지의 개발과 타당화 및 수치심하위유형에 대한 연구(2018 박사학위논문)
- 수치심 '경험'에 대한 질적 탐색: CQR-M 방식을 활용하여. 신학과 학문, 제23권 3호 (2021 이인숙)
- 초등교사의 기능적 완벽주의 성향과 소진의 관계;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학교,8(1),한국심리학과; 학교심리학회(2011 김미라, 이지연, 이인숙)
- 여고생의 정서표현갈등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수치심의 매개효과 검증. 상담학 연구, 11(2), 한국상담학회(2010 윤희옥,이지연,이인숙)
- 여성의 대상관계, 수치심, 자기침묵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 연구,10(4). 한국상담학회(2009 이인숙, 이지연).
- 대학생의 전문적 도움추구에 있어 수치심과 낙인의 영향, 아시아교육연구,9(1),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2007, 이지연,강지연,이인숙)
-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의 타당화연구: 애착, 자기애, 외로움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3), 한국상담심리학회(2005, 이인숙,최해림)
- 대학생의 자기애성향과 대인불안 및 방어성간의 관계 (2002 석사학위논문)